키케로의 <의무론> 다이제스트

『의무론』은 키케로가 장차 정치가가 될 그의 아들에게 보낸 편지를 모은 것으로 인간으로서 해야 할 도리 또는 인간이 참되게 사는 길 을 제시하고 있다. 당대의 최고 지성으로 희랍 철학의 보급과 로마 철학 수립에 기여한 철학자, 산문가, 로마 공화정의 대표적 정치가였던 키케로가 45년 아테네로 유학간 그의 아들인 마르쿠스에게 보내는 편지 형식으로 엮어져 있다. 전체 3권으로 되어 있는데, 1권 ‘도덕적 선에 대하여'에서는 4가지 기본적인 덕인 지식․지혜․용기․인내에 대하여 논한다. 2권 '유익함에 대하여'에서는 인간이 살아가는 데 편리하고 유리한 것들에 대해서, 그리고 3권 '도덕적 선과 유익함의 상충'에서는 도덕적 선과 유익함의 비교에 관해 논하고 있다. 기원전 2세기 로마가 카르타고를 무찌르고 세계를 재패하던 그 당시부터 로마인들은 '로마 시민'이자 '선량한 인간'을 인간 이상으로 간주하였고, 이 책은 그러한 시대적 인간상을 키케로가 자신의 아들에게 갈고 닦으라는 훈계서 이다. 윤리적인 덕성들을 구비하는 선량함과 사회적 지위와 입신양명, 국가에 대한 공헌을 골고루 갖추는 고귀함이, 유려한 문장과 구체적이고 역사적인 실례와 설득력 있는 언변으로 소개되고 있다. 세상을 살아가는 실리적인 처세, 그리고 선량함과 실리적 처세가 충돌할 때 취할 판단 기준 같은, 고대 세계에서 로마인이 아니면 착안하지 못했을 문제도 다루고 있다. 서양인에게 가장 많이 읽힌 책 중의 하나이며 "도덕에 관한 최상의 책"(프레드릭 대왕)이라는 찬사를 받은 이 책은 아리스토텔레스 이후 헬레니즘 시대 스토아 학파의 윤리 사상을 상세하게 전해주고 있다. 명예와 부, 사랑과 돈, 정직과 편의 등 양자 중 어느 것을 택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2천여 년 전 로마의 공화정 시대의 스토아 학파와 에피쿠로스 학파 사이의 쟁점일 뿐 아니라 우리 모두가 일상생활에서 직면하게 되는 문제들이다. 이러한 문제로 갈등...